생태문화학교 3기에서 지난 2025년 5월13일(화)에는 (사)사회적가치경영연구원 허욱 원장님의 '통합돌봄지원법과 통합돌봄의 길' 이라는 주제 강연이 있었습니다.
강연에서는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이 1900년대 40세에서 2023년 83.5세로 크게 증가했으며, 건강수명과의 차이가 12년에 달한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또한 저출생 인구감소로 인해 2024년 말 이미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전인구의 1/5을 넘어선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으며, 이는 OECD 38개국 중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라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소득 격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이 존재하며,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데다(40.4%), 의료비 지출이 급증하여 GDP 대비 의료비 비중이 10%에 육박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습니다.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점으로는 1차 의료기관의 약화, 상급병원 쏠림 현상, 주치의 제도 부재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또한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요양원, 요양병원의 제한으로 간병인(요양보호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현재 지역사회 통합돌봄지원법이 기본법 수준의 선언에 머무르고 있다는 한계도 논의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해외 <커뮤니티 케어> 관련 법제가 소개되었으며, 향후 각종 지역사회의 돌보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었습니다.
이후 분임토의 과정에서 지역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은 무엇인지, 지역별 돌봄수요와 특성 조사, 돌봄사역의 우선순위 등에 대한 토론이 있었는데,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교회가 지역사회 돌봄의 중심 주체로서 복지 실천 공간을 마련하고 신도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체계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강조되었다. 또한 돌봄 대상을 노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장애인 등으로 확대하고, 노인 질병 특성별 맞춤 돌봄을 설계하며, 여성 중심의 돌봄 주체를 남성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어,
2025년 5월 20일(화)에는 전환마을 은평 유희정 대표님의 '퍼머컬처로 만드는 전환마을' 이라는 주제 강연이 있었습니다. 본 강연에서 기후위기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난방을 실시하는 겨울보다 땅을 경작하는 4월에 가장 높아진다는 설명과 함께 전세계적으로 표토침식이 심각한 수준으로 2040년에는 흙이 없어서 발생하는 기후위기와 함께 식량생산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퍼머컬쳐(Permaculture)란 전일적 세계관에 기반한 '자연에서 발견되는 패턴과 관계를 모방해서 삶터에 필요한 주거, 음식, 섬유, 에너지, 치유, 문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고 실천하는 체계론적 사고방식이자 원리'로서 독일의 전환마을 토트네스(transition town Totnes)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표님이 은평구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작년에 우수마을기업으로 지정되기도 했던 유기농 채식식당인 '밥풀꽃'의 사례를 들기도 했습니다. 이후 분임토의 과정에서 1. 생태로운 쾌락이란 무엇일까? 2. 강의 후 삶으로 돌아가서 가장 먼저 할 행동은 무엇일까? 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녹색 교회학교 이야기 > 찾아가는 살림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문화학교(3기) 에너지전환에 이어 자원순환 수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 | 2025.05.02 |
---|---|
생태문화학교(3기) 숨쉼센터와 타임뱅크하우스 방문 (0) | 2025.04.15 |
생태문화학교(3기)가 시작되어 매주 강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0) | 2025.04.10 |
2025 신나는 생태교육의 문이 열립니다! 광성드림학교와 이야기학교에서 특별한 여정이 시작됩니다. (0) | 2025.03.29 |
생태문화학교(3기)를 모집합니다! (1) | 2025.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