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억압하는 체제의 굴레 깨뜨리기
“그 뒤에 유대 사람의 명절이 되어서,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셨다. 예루살렘에 있는 '양의 문' 곁에, 히브리 말로 베드자다라는 못이 있는데, 거기에는 주랑이 다섯 있었다. 이 주랑 안에는 많은 환자들, 곧 눈먼 사람들과 다리 저는 사람들과 중풍병자들이 누워 있었다. [그들은 물이 움직이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주님의 천사가 때때로 못에 내려와 물을 휘저어 놓는데 물이 움직인 뒤에 맨 먼저 들어가는 사람은 무슨 병에 걸렸든지 나았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서른여덟 해가 된 병자 한 사람이 있었다. 예수께서 누워 있는 그 사람을 보시고, 또 이미 오랜 세월을 그렇게 보내고 있는 것을 아시고는 물으셨다. "낫고 싶으냐?" 그 병자가 대답하였다. "주님, 물이 움직일 때에, 나를 들어서 못에다가 넣어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내가 가는 동안에, 남들이 나보다 먼저 못에 들어갑니다."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일어나서 네 자리를 걷어 가지고 걸어가거라." 그 사람은 곧 나아서, 자리를 걷어 가지고 걸어갔다.” (요한복음 5:1-9)
이 본문은 38년간 병고에 시달려온 한 사람의 이야기를 깊이 탐구합니다. 그는 전통적으로 치유의 능력이 있다고 알려진 양문 곁 못가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천사가 연 1회 내려와 못의 물을 동하게 하여 치유의 기회를 주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연례 행사는
물이 동할 때마다 단 한 사람만 치유될 수 있었기에, 병자들과 장애인들 사이에 경쟁을 야기했습니다.
이는 장애인들이 겪는 체계적인 배제와 편견의 문제를 선명하게 보여줍니다. 특히 신체적 제약으로 치유받을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이들의 현실을 드러냅니다. 이런 착취적 체제를 방관한 시민 당국과 종교 기관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해야 합니다.
이는 착취적 사회 구조에 대해 시민적, 종교적 지도자들이 함께 책임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해로운 관행을 바로잡고 없애기 위해서는 이들 기관의 책임과 개혁이 필요합니다. 못에 갈 수 없다는 그의 애절한 하소연은 사회 구조로 인해 소외된 이들이 겪는 깊은 고립감과 무력감을 드러냅니다.
그의 말에는 관계와 치유를 향한 깊은 갈망이 담겨 있으며, 절망의 굴레에 갇혀 겪는 정서적, 심리적 고통이 묻어납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그에게 치유받기를 원하는지 물으십니다. 이는 단순한 수사가 아닌, 그가 자신의 삶과 처지에 대한 주도권을 되찾도록 하는 초대였습니다.
일어나 걸으라는 예수님의 명령은 병자들을 절망 속에 가두어 온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해방의 선언이었습니다. 이 치유는 육체적 차원을 넘어 오랫동안 사회가 외면해 온 그의 정체성과 존재 가치를 회복시키는 근본적 변화였습니다.
이 본문은 고통과 불의의 순환을 지속시키는 사회 구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합니다. 모든 이가 경쟁보다는 연민을, 배제보다는 포용을 실천하며 이러한 반생명적 체제에 맞서 이를 바꾸어 나갈 것을 촉구합니다.
이 이야기는 구조적 불의 앞에서 공감하고 변화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일깨우며,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가 되어 더욱 공정하고 자비로운 사회를 향해 나아갈 것을 요청합니다. 이로써 우리는 개인의 처지와 관계없이 모든 이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치유와 돌봄이 모두에게 닿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공동의 책임이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기도
- 생명을 위협하는 여러 조건과 체제 속에서 살아가는 소외된 이들의 생명과 안녕을 지켜주소서.
- 그리스도인들과 모든 이들이 세상의 반생명적 체제의 순환을 깨뜨리는 일에 담대히 동참하게 하소서.
- 우리를 통하여 인류와 창조세계의 치유와 회복을 이루어주소서.
+ CWM SUNDAYS 2025 4월 10일 묵상글을 미리 번역하여 미리 묵상하고 나눕니다(글 브라이언 버드, 역 유미호).

'자유로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위기 기독교 대화모임(일정 변경 재공지) (0) | 2025.03.19 |
---|---|
'탈핵주일 연합예배'와 '기후위기 걷기 기도회'를 함께~ (0) | 2025.03.10 |
[제2차 기후위기기독교대화모임] (0) | 2025.03.06 |
2025 탈핵주일연합예배 및 기후위기 걷기기도회 (0) | 2025.02.25 |
<늦봄길 산책>문익환 통일의집 영성프로그램을 협력해서 엽니다~ (0) | 2025.02.25 |
댓글